- 출처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
- 조회수 2183
- 등록일2020-11-04
- 첨부파일
- 바로가기
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및 전망
[BiolNdustry No.152]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및 전망
※ 본 보고서의 내용은 Frost & Sullivan에서 발간한 ‘New Drug Development for Rare Pediatric Disorders Sustaining High Growth in the Global Orphan Drugs Market, 2019~2025(2020.8)’를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
< 국가별 희귀질환 정의 >
구분 |
정의 |
유병인구 상한선 |
미국 |
미국 내 유병인구가 200,000명 이하의 질환 |
200,000명 |
유럽 |
유럽 내 유병률이 10,000명당 5명 이하인 질환 |
185,000명 |
일본 |
일본 내 유병인구가 50,000명 이하의 질환 ※ 발병 매커니즘이 불분명하고 치료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희귀한 질병으로, 장기간 요양을 필요로 하는 질환 |
50,000명 |
한국 |
20,000명 이하의 질병 유병률이거나 진단이 어려워 유병인구를 알 수 없는 질환※ 희귀질환관리법(‘16.12.30 시행) |
20,000명 |
대만 |
중앙관할당국에서 제정 및 공표하고 희귀의약품위원회에서 인정한 유병률이 낮은 질병※ 1만명 당 유병률 : 1명 |
- |
호주 |
난치여부와 상관없이 환자수가 2,000명 미만인 질병 |
20,000명 |
WHO |
10,000명당 5명 또는 그 이하의 질병 유병률 |
- |
...................(계속)
☞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